서울AI재단-MIT 센서블시티랩, Urban AI 연구 협력 본격화

10월 1일(수) 연구 협약 체결, 세계 네 번째 글로벌 센서블 시티 랩 유치
2026년 1월부터 AI 기술로 교통·환경·안전 등 도시문제 해결 연구 착수
도시AI 연구, 기술세미나, 교육프로그램 등 3대 분야 협력 추진, 국제 공동 연구 확대

2025-11-10 13:10 출처: 서울AI재단

서울AI재단-MIT 센서블시티랩 연구 협약 체결

서울--(뉴스와이어)--서울AI재단(이사장 김만기)은 지난 10월 1일(수) 세계 최고의 도시 문제 해결 연구 기관인 MIT 센서블시티랩(Senseable City Lab)과 연구 협약(MOA, Memorandum of Agreement)을 체결하고 서울을 거점으로 하는 ‘센서블 시티 서울 랩(Senseable City Seoul Lab)’을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글로벌 AI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MIT의 도시 데이터 기반 연구 경험과 서울의 첨단 도시데이터·AI 기술 역량을 결합해 ‘AI로 도시를 이해하고, AI로 도시를 해결하는 Urban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블 시티 서울 랩’은 MIT가 전 세계 주요 도시와 함께 운영 중인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부로, 서울은 암스테르담·두바이·리우데자네이루에 이어 세계 네 번째 글로벌 센서블 시티 랩 유치 도시가 됐다.

양 기관은 △AI 기반 도시문제 연구 협력 △국제 학술행사 및 기술 세미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교통, 환경, 안전 등 서울시가 직면한 현안을 중심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 성과를 시민과 공유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 내용은 2026년 1월부터 추진되며, 서울은 MIT 센서블시티랩과의 협약을 계기로 도시 AI 연구의 국제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재단은 ‘센서블 시티 서울 랩’을 중심으로 AI 기반 도시 정책 모델을 지속 개발하고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프로젝트를 확대할 계획이다.

MIT 센서블 시티 랩의 카를로 라티(Carlo Ratti) 소장은 “각 대륙에 현지 랩을 설립함으로써 우리는 도시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것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그 연구 결과를 실질적인 정책으로 전환해나가고 있다”며 “서울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데이터 과학과 인간적 통찰을 결합한 도시 혁신 연구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만기 서울AI재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이 글로벌 AI 연구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MIT 센서블시티랩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수준의 Urban AI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AI 시티 서울’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AI재단 소개

서울AI재단은 서울시 산하기관으로, 글로벌 스마트시티 서울로 만들고자 2016년 6월 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은 빅데이터 분석과 AI 행정서비스로 서울시의 과학행정을 지원하며, 디지털 포용도시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사람 중심 기술혁신의 장(場)인 스마트라이프위크(SLW) 운영과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을 통해 사람 중심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의 스마트시티 경쟁력을 강화하는 다양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saif.or.k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